알루미늄 분야와 자동차 부품 분야의 전문기업으로서 삼보산업의 전망 자체는 아무래도 자동차 분야와 철강산업이라는 두곳을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빕주엥 있어서는 알루미늄 분야라고는 하지만 향후 성장적인면에서는 자동차 분야의 다이캐스팅 분야가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그러나 문제점중 하나는 두분야 모두 최근 연간 매출이 줄어드는 경향이 보인다는 점입니다.
특히 재무만 보더라도 이믹 제작년 16년도 부터 적자가 난 기업중 하나이며 올해 역시 적자를 피해 가기엔 힘들 것이라고 생각되는데요. 게다가 부채비율 면에서도 삼보산업이 상당히 높다고 보고 있으며 재무부분에 대한 해결이 가장 절실한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최근 나아진 점중 하나는 자동차 비중을 탈출하고 새로운 사업을 향해 나아간다는 점인데요
최근 연구개발을 하는 부분을 보더라도 LG전자와 함꼐 진행하고 있는 특허 분야가 기대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포스코 탈산제 판매의 증대라든지 비 자동차 부품 매출에 대한 비중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결국 매출에 대한 다변화를 통해 실적을 잡는다는 점이며 너무 문어발 형식도 아니라는 점도 삼보산업이 새각보다 경영을 잘하고 있다고 보는데요
결국 보면 국내의 자동차 부품 납품 위주로서는 향후 매출증대는 힘들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여러 사업 모델을 얼마나 찾을 수 이쓸지가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알루미늄 합금 이라는 것이 아무래도 자동차 산업과 성장할 수 밖에 없는 사업이며 이러한 연관성이 삼보산업의 주가를 발목을 잡은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는데요
결국 알루미늄에 대한 활용성을 어떻게 찾아갈 수 있을지 그래도 전자및 철강업계에 대한 수익이 증가할 가능성도 충분히 높다고 보기에 삼보산업 전망이 너무 어두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네용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에스엠 전기차 경량화 기술력의 시장성은? (0) | 2017.12.01 |
---|---|
삼기오토모티브 신규수주 5천억 돌파에 전기차 혜택 톡톡 (0) | 2017.11.27 |
삼화콘덴서 MLCC 소재개발에 전장시장 1등 되나? (0) | 2017.11.15 |
서연전자 전장부품 질적 가치가 주가하락 끝낼까? (0) | 2017.10.20 |
대동금속의 높은 농기계 점유율은 지속? (0) | 2015.10.29 |